Windows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11. Windows : Active Directory - 4. 자식 도메인(Child Domain) 생성 2022.05.03 - [Windows] - 08. Windows : Active Directory - 1. ADDS/Domain Controller 설치 및 구성하기 지난 번에 생성한 Root Domain Controller의 자식 도메인을 생성해보자 1.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 설치 및 DC 구성 1.1. AD DS 설치 ※ 서버 관리자의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 설치 유형 선택 -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 선택 ※ 대상 서버 선택 ※ 서버 역할 선택 - AD DS 선택 후 기능 추가 ※ 기능 선택 ※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 - 내용 확인 ※ 설치 선택 확인 - 선택한 역할 확인 후 설치 1.2. Domain Controller 구성 ※ 도메인.. 10. Windows : Active Directory - 3. Member Server 구성 1. Member Server Standalone Server가 Domain에 가입한 상태 Domain Logon과 Local Logon 모두 가능 DC의 자원(user, group, Computer 등) 즉, 개체를 가져다 쓰기 위해서 사용 대부분의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사용 DC에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Domain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보안상의 허점을 방지 2. Member Server 구성하기 W2K19-MEM1 서버를 앞 전에 구성했던 AD의 멤버 서버로 구성해보자. 08. Windows : Active Directory - 1. ADDS/Domain Controller 설치 및 구성하기 1. Windows Server를 사용하는 이유 AD(Active Directory)를 통한.. 09. Windows : Active Directory - 2. ADDS/Domain Controller 삭제 및 초기화 2022.05.03 - [Windows] - 08. Windows : Active Directory - 1. ADDS/Domain Controller 설치 및 구성하기 설치를 잘 하는 것 만큼 삭제(및 초기화)를 잘 하는 것도 매우매우 중요하다! 위에서 설치한 ADDS 초기화 방법에 대해 실습해보자 삭제 순서 1. Domain Controller 수준 내리기 2. Local 로그인 후 ADDS 역할 제거 3. DNS 접미사 삭제 1. Domain Controller 수준 내리기 ※ 서버 관리자에서 관리 → 역할 및 기능 제거 ※ 삭제 대상 서버 선택 ※ 서버 역할 제거 -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 선택 후 기능 제거 ※ DC 수준 내리기 ※ 자격 증명 - 도메인의 마지막 도메인 컨트롤.. 08. Windows : Active Directory - 1. ADDS/Domain Controller 설치 및 구성하기 1. Windows Server를 사용하는 이유 AD(Active Directory)를 통한 인증 GP(그룹 정책) 관리 2. Window Server 유형 2.1. Standalone 기본 상태의 서버 Local Login만 가능 2.2. Member Server Standalone Server가 Domain에 가입한 상태 Domain Logon과 Local Logon 모두 가능 DC의 자원(user, group, Computer 등) 즉, 개체를 가져다 쓰기 위해서 사용 대부분의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사용 DC에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Domain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보안상의 허점을 방지 2.3. Domain Controller ADDS(Active Directory Domain S.. 07. Windows : DNS 보조 영역 및 스텁 영역 구성 DNS 설치 및 주 DNS 설정 06. Windows : DNS 설치 및 주 영역(주 DNS) 설정 DNS의 개념 및 리눅스 환경에서 DNS 구성하기 16. CentOS7 :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 mh-itstudy.tistory.com 1. 보조 DNS 설정 환경: Windows2019 주 DNS: W2K19-AD1 (10.0.0.1) 보조 DNS: W2K19-MEM1 (10.0.0.2) ※ 도구 → DNS 선택 1.1.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 ※ 정방향 조회영역 → 새 영역 선택 ※ 보조 영역 선택 ※ 영역 이름 설정 ※ 마스.. 06. Windows : DNS 설치 및 주 영역(주 DNS) 설정 DNS의 개념 및 리눅스 환경에서 DNS 구성하기 16. CentOS7 :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 mh-itstudy.tistory.com DNS(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 05. Windows : 웹 서버 (IIS) 설정 및 가상 디렉터리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Microsoft Windows를 사용하는 서버들을 위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의 모임 서버는 현재 FTP, SMTP, NNTP, HTTP/HTTPS를 포함하고 있다. 1. IIS 설치 환경 : Windows 2019 ※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 설치 유형 선택 ※ 대상 서버 선택 ※ 서버 역할 선택 ※ IIS 관련 설명 읽어보기 2. IIS 설정 ※ 도구 → IIS 관리자 2.1. 웹 사이트 설정 ※ Default Web Site 제거 ※ 웹 폴더 생성 ※ url 접속 시 보여질 html 파일 생성 ※ 웹 사이트 추가 ※ 웹사이트 설정 확인해보기 ※ 시작 페이지에서 보여질 html 파일 설정 2.2. Test W10-1에서 테스트 진.. 04. Windows : FTP (File Transfer Protocol) CentOS7 환경에서 FTP 구성하기 14. CentOS7 : FTP 1. FTP(File Transfer Protocol) 1.1. 대용량 파일 전송 (Upload, Download) 1.2. Linux vsftpd or proftpd 인증 및 제어 Protocol : TCP Port : 21 data 전송 Active : Port 20 - Client Data 전송 포트를 결정.. mh-itstudy.tistory.com FTP (File Transfer Protocol)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보통 제어용으로 21번 포트, 데이터 전송용으로 20번 포트를 패시브 모드의 경우 50000번대 이상의 포트를 추가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