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dows

08. Windows : Active Directory - 1. ADDS/Domain Controller 설치 및 구성하기

1. Windows Server를 사용하는 이유

  1. AD(Active Directory)를 통한 인증
  2. GP(그룹 정책) 관리

2. Window Server 유형

2.1. Standalone

  • 기본 상태의 서버
  • Local Login만 가능

2.2. Member Server

  • Standalone Server가 Domain에 가입한 상태
  • Domain Logon과 Local Logon 모두 가능
  • DC의 자원(user, group, Computer 등) 즉, 개체를 가져다 쓰기 위해서 사용
  • 대부분의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사용
  • DC에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Domain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보안상의 허점을 방지

2.3. Domain Controller

  • ADDS(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 설치 후 Domain 관리
  • 오로지 Domain Login만 가능

2. ADDS(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LDAP 디렉터리 서비스의 기능

  • 네트워크 사용자, 컴퓨터 및 기타 자원에 대한 중앙 관리 시스템을 제공
  • 중앙화 디렉터리. 해당 인프라를 모두 관리할 수 있다.
  • SSO(Single Sign-On) Access
  • 보안 연동, 확장성
  • 표준화된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

3. ADDS 실습

실습 환경: Windows2019

3.1. ADDS 설치

※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역할 및 기능 추가

 

 

※ 설치 유형 선택

 

※ 설치 대상 서버 선택

 

※ 설치할 역할 선택

 

※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 내용 확인

 

※ 설치 선택 확인 후 설치

 

3.2. Domain Controller 구성

※ 도메인 컨트롤러 설치를 위해 '이 서버를 도메인 컨트롤러로 승격' 선택하여 구성하기

 

※ 배포 구성 - 기존에 포리스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새 포리스트 추가 후 도메인 이름 지정

 

※ 도메인 컨트롤러 옵션 - 옵션 선택 후 패스워드 설정 

  • 도메인의 기능 수준은 포리스트 기능 수준과 같거나 높다.
  • 첫 번째로 만들어지는 도메인 컨트롤러는 무조건 GC(글로벌 카탈로그)여야한다.

 

※ DNS 옵션 - 해당 포리스트의 첫 DC이므로 부모 영역이 없어 DNS 위임도 없음

 

※ 추가 옵션 - NetBIOS 도메인 이름 설정, 앞에서 설정했던 루트 도메인 이름의 앞 부분으로 설정됨

 

※ 경로 - 데이터베이스와 로그 파일은 별도의 폴더에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일단, 실습이므로 같은 폴더에 구성)

 

※ 검토 옵션 - 설정한 옵션에 대한 리뷰 정보 확인

 

※ 필수 구성 요소 확인 - 확인 후 빨간색 경고 메세지가 없다면 설치 진행

 

※ 설치

 

※ 로그오프 - 설치가 완료되면 PC가 자동으로 다시 시작된다.

 

3.3. ADDS 설치 확인

※ 로그인 - 도메인이름\아이디 또는 아이디@도메인 으로 로그인을 진행한다.
               ex) mhan\adminstrator 또는 administrator@mhan.xyz

 

 

 

서버 관리자▶로컬 서버의 도메인 확인 및 AD DS/DNS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DNS 확인 - DNS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한다.

 

3.4. 추가 설정

※ 네트워크 연결 설정 → IPv6 비활성화

 

※ 네트워크 연결 설정 → IPv4 DNS 서버의 IP로 변경

 

※ cmd → nslookup 명령어 이용하여 도메인 Address 정상 조회 되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