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39)
07. CentOS7 - 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관련 파일과 명령어 1. /etc/shadow 분석 1.1. 원본 ceo:$6$e2Y8xTVa$LqiVTXQPvt76x6jxRkv0i6EHNe:19047:0:99999:7::: 1.2. 분석 ceo: ID $6$e2Y8xTVa$LqiVTXQPvt76x6jxRkv0i6EHNe: 암호화 된 패스워드 (SHA512) 19047: 마지막 패스워드 변경 날짜 197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날수를 기록함 0: 패스워드 최소 사용 기간 (이 기간 동안은 패스워드 변경 불가) 99999: 패스워드 최대 사용 일 99999는 무제한을 의미 개인정보보호법 통상 45일, 최대 6개월 이내 변경 7: 경고 메세지 출력일 : 유예기간 : 계정 만료일 ※ a, b 계정 생성 및 a 패스워드 설정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한 경우 /etc/shadow..
06. CentOS7 명령어 - useradd, usermod, userdel, group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 1.1. 관련된 파일 및 디렉토리 /etc/passwd id, 패스워드, uid, gid, 코멘트, 홈디렉토리, shell /etc/group id, 패스워드, gid, 사용자 /etc/shadow id, 패스워드, 마지막으로 패스워드 수정한 날짜,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패스워드 최대 사용기간, 경고메세지 출력일, 유예기간, 계정만료일 /etc/default/useradd 기본그룹, 유예기간, 계정만료일, shell, spool생성여부 /etc/login.defs 메일사서함위치, 패스워드최소사용일, 최대사용일, 경고메세지출력일, 패스워드 최소길이, uid시작 및 끝번호, gid시작 및 끝번호, 패스워드 암호화방식 sha512 /etc/skel 사용자 계정 생성시 기본적으로 ..
05. CentOS7 명령어 - vi 편집기 1. vi 1.1. vi [파일명] 지정한 파일을 편집한다.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파일명으로 지정할 경우 새로운 빈 파일을 편집하며, 이미 존재하는 파일일 경우 해당 파일 수정한다. 1.2. 파일 저장 및 종료 모드 명령 키 기능 마지막 행 모드 :q vi에서 작업한 것이 없을 때 그냥 종료한다. :q!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강제종료) :w [파일명] 작업한 내용을 저장만 한다. 파일명을 지정하면 새 파일로 저장한다. :wq, :wq!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한다. 명령 모드 ZZ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한다. 1.3. 입력 모드 전환 명령 키 기능 i 커서 앞에 입력한다. (현재 커서 자리에 입력) a 커서 뒤에 입력한다. (현재 커서 다음 자리에 입력) o 커..
04. CentOS7 명령어 - 속성 정보 분석 및 파일 권한 (chmod) 1. 파일 및 디렉토리 속성정보(MetaData) 분석 1.1. 원본-rw-r--r-- 1 root root 2 2월 17 09:31 a.txt 1.2. 분석 - : 파일 유형 파일 (-), 디렉토리 (d), Symbolic link (1) rw- : user(owner) 권한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r-- : group 권한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r-- : 기타사용자(other)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1 : link 개수 root : 소유주(owner) root : 그룹(group) 2 : 그룹(group) 2월 17 09:31 :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 a.txt : 파일이나 ..
03. CentOS7 명령어 - touch, Archive, 압축(zip, gzip, bzip2, xz) 1. touch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시간 정보 변경 1.1. touch - t [시간정보] [파일명] 1.2. touch -c [파일명] (파일이 없는 경우 생성하지 않음) 2. Archive 2.1. 정의 : Backup이나 압축을 위해서 여러개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작업 2.2. 탄생 : 예전 Type Drive 시절 여러 곳에 혼재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한 파일로 관리 2.3 명령어 tar (Tape Archive) -c : Archive 파일 생성 (필수옵션) -x : Archive 파일 해제 (필수옵션) -v (view) : 작업 진행 과정 확인 (필수옵션x) -f : 파일 이름 지정 (필수옵션) -t : 해제하지 않고 Archive 파일 확인 -r : 기존 Archive..
02. CentOS7 기본 명령어 1. 기본 명령어 1.1. root : 로그인 사용자 centos7-1 : 컴퓨터 이름 (hostname) ~ : 현재 디렉토리 1.2. 사용명 long option : option fullname ex) 명령어 --help short option : option 축약명 ex) 명령어 -a 1.3. ls (list) 디렉토리의 내용을 보는 명령어 1.3.1. -a : 모든(숨김)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 1.3.2. -l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메타데이터) 정보 출력 1.3.3. -h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사이즈를 가독성 좋게 변경하여 출력 1.3.4. -i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inode number 출력 (inode: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 번호) 1.3.5. -R : 디..
01. Linux 1. Linux 탄생 1990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리누즈 토발즈 개발 Unix 교육용 운영체제 Minix - x86시스템에서 구동 불가 Linux : Mini를 x86 cpu 장착된 컴퓨터에서 사용가능하게 만든 버전 배포판 종류 Kernel은 동일하다. 단 Application의 종류가 다르다. Debian Debian : debian.org (스마트폰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ubuntu.com Slackware slackware : slackware suse (suse.com) Redhat Redhat : redhat.com Fedora : https://getfedor.org/ CentOS : wiki.centos.org Rockylinux : rockylinu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