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i
1.1. vi [파일명]
- 지정한 파일을 편집한다.
-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파일명으로 지정할 경우 새로운 빈 파일을 편집하며, 이미 존재하는 파일일 경우 해당 파일 수정한다.
1.2. 파일 저장 및 종료
모드 | 명령 키 | 기능 |
마지막 행 모드 | :q | vi에서 작업한 것이 없을 때 그냥 종료한다. |
:q! |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강제종료) | |
:w [파일명] | 작업한 내용을 저장만 한다. 파일명을 지정하면 새 파일로 저장한다. | |
:wq, :wq! |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한다. | |
명령 모드 | ZZ |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한다. |
1.3. 입력 모드 전환
명령 키 | 기능 |
i | 커서 앞에 입력한다. (현재 커서 자리에 입력) |
a | 커서 뒤에 입력한다. (현재 커서 다음 자리에 입력) |
o | 커서가 위치한 행의 다음 행에 입력한다. |
I (대문자 i)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처음으로 이동하여 입력한다. |
A |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하여 입력한다. |
O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이전 행에 입력한다. |
1.4. 커서 이동하기
- k : 위
- j : 아래
- l : 오른쪽
- h : 왼쪽
- ^ 또는 0 : 현재 행의 처음으로 이동 (home)
- $ : 현재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 (end)
1.5. 특정 행으로 이동
명령 키 | 기능 |
G |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 이동 |
행 번호 → G | 지정한 행 번호로 커서 이동 |
:행 번호 | 지정한 행 번호로 커서 이동 (마지막 행 모드) |
:$ |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 이동 (마지막 행 모드) |
1.6. 내용 삭제
- dd : 커서가 위치한 현재 행을 삭제한다.
- [삭제할 행의 개수] → dd : 커서가 위치한 현재 행부터 지정한 행의 수만큼 삭제한다.
- D : 커서 위치부터 행의 끝까지 삭제한다.
1.7. 명령 취소하기
- u : 명령을 취소한다. (= ctrl+z)
- U : 해당 행에서 한 모든 명령을 취소한다.
- :e! : 마지막으로 저장한 내용 이후의 것을 버리고 새로 작업한다. (마지막 행 모드)
1.8. 복사, 잘라내기, 붙이기
명령 키 | 기능 |
yy, #yy | 커서가 위치한 행을 복사한다. #에는 복사할 행의 수 지정 |
p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아래쪽에 붙여넣는다. |
P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위쪽에 붙여넣는다. |
dd, #dd | 커서가 위치한 행을 잘라둔다. 삭제와 같은기능. #에는 잘라둘 행의 수를 지정한다. |
1.9. 검색
명령 키 | 기능 |
/문자열 | 문자열을 아래 방향으로 검색한다. |
?문자열 | 문자열을 위 방향으로 검색한다. |
n | 원래 찾던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한다. |
N | 반대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한다. |
1.10. 문자열 바꾸기
명령 키 | 기능 |
:s/str/rep/ | 커서가 위치한 행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str을 rep로 바꾼다. |
:%s/str/rep/g | 파일 전체에서 모든 문자열 str을 rep로 바꾼다. |
:<범위>s/str/rep/ | 범위 내 모든 각 행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문자열 str을 rep로 바꾼다. |
:<범위>s/str/rep/g | 범위 내 모든 행에서 str을 rep로 바꾼다. |
:<범위>s/str/rep/gc | 범위 내 모든 행에서 str을 rep로 바꿀 때 수정할지 여부를 묻는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CentOS7 - 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관련 파일과 명령어 (0) | 2022.03.01 |
---|---|
06. CentOS7 명령어 - useradd, usermod, userdel, group (0) | 2022.02.22 |
04. CentOS7 명령어 - 속성 정보 분석 및 파일 권한 (chmod) (0) | 2022.02.22 |
03. CentOS7 명령어 - touch, Archive, 압축(zip, gzip, bzip2, xz) (0) | 2022.02.22 |
02. CentOS7 기본 명령어 (0) | 202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