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23. CentOS7 : DB Server/Client 설치 및 실행 1. DB Server 설치 및 설정 CentOS7-2 : DB Server 1.1. DB Server 설치 ※ 리포지토리 구성 # yum install -y http://dev.mysql.com/get/mysql57-community-release-el7-11.noarch.rpm ※ 리포지토리 확인 ※ 서버 설치 (서버 설치 시 클라이언트와 같이 설치 됨) # yum install -y mysql-community-server ※ 설치 실패 ※ /etc/yum.repos.d/mysql-community.repo 파일 수정 ※ 다시 설치 진행 ※ DB 시작 ※ DB 초기 패스워드 확인 (cat, grep 명령어 이용) ※ DB 패스워드 변경 1.2. DB Server - DB 확인 및 권한 변경 ※ DB.. 22. CentOS7 : SSL(3) - http 암호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1. CentOS7 : SSL(2) - ftp 암호화 지난번에 생성한 인증서로 FTP SSL 설정하기 20. CentOS7 : SSL(1) - 인증서 만들기 1. 인증서 생성하기 1.1. 인증서 생성 순서 개인키 만들기 개인키 이용하여 인증 요청서 만들기 개인키와 인증 요청서 이용하여 인증서 만들기 1.2. 설치 # yum install -y openssl 1.3. 개인키 만들기 ※ mh-itstudy.tistory.com 1. 파일 위치 변경 2. ftp 인증서 암호화 설정 ※ /etc/vsftpd/vsftpd.conf 파일에 내용 추가 ※ ftp 재시작 3. 테스트 3.1. 접속 테스트 ※ ftp 접속 (filezilla) 3.2. 패킷 확인 암호화되어 배너와 인증서에 나와있는 정보만 확인 가능 20. CentOS7 : SSL(1) - 인증서 만들기 1. 인증서 생성하기 1.1. 인증서 생성 순서 개인키 만들기 개인키 이용하여 인증 요청서 만들기 개인키와 인증 요청서 이용하여 인증서 만들기 1.2. 설치 # yum install -y openssl 1.3. 개인키 만들기 ※ 개인키 생성 ※ 생성 확인 ※ 내용 확인해보기 1.4. 인증 요청서 만들기 ※ 개인키 이용하여 인증 요청서 생성 ※ 생성 확인 ※ 내용 확인해보기 1.5. 인증서 만들기 ※ 개인키, 인증 요청서 이용하여 인증서 생성 x509 : 인증서의 표준 방식 -days : 인증서의 유효기간 설정 -in : 인증요청서 파일 지정 -signkey : 개인키 파일 지정 -out : 인증서 파일명 지정 ※ 생성 확인 ※ 내용 확인해보기 19. CentOS7 : SSH 공개키 로그인 설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관해서 01. 암호 알고리즘 1. 암호화 방식 양방향 개인키 공개키 단방향 HASH 2. 개인키 암호화(Private Key Encryption) 기법 개인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평문의 mh-itstudy.tistory.com 1. SSH 공개키 로그인 설정 Host PC에서 Guest PC로 공개키 이용하여 로그인되도록 설정 1.1. 키 생성 (Host PC) ※ 키 생성 본인이 공개키를 이용하여 로그인 할 PC에서 위 명령어 이용하여 키 생성 (Windows or Linux) ※ 키 생성 확인 ※ 보안을 위해 .pub 파일 내용의 맨 뒤에있는 PC명 삭제 1.2. 디렉토리 생성 (Guest PC) 1.3. 생성한 공개키 접.. 18. CentOS7 : SMTP, IMAP 1.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며, TCP 포트번호 25번을 사용한다. 상대 서버를 지시하기 위해 DNS의 MX 레코드가 사용된다. sendmail 2. POP과 IMAP dovecot 2.1. POP (Post Office Protocol) TCP/IP 기반으로 메일 서버에서 수신한 이메일을 가져오기 위해 사용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TCP 포트 110 사용 메일을 읽으면 Client 쪽으로 다운로드 된다. 전용 단말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면 여러 군데로 흩어진 메일을 모아야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2.2. IMAP (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 POP와 동일하게 이메일 메세.. 17. CentOS7 : NFS(Network File System) NFS(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메커니즘.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액세스할 수 있고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가 로컬에 있는 것처럼 처리하도록 허용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1. 설치 # yum install -y nfs-utils 2. NFS Server 구성하기 ※ nfs 서버로 사용할 디렉토리 생성 ※ /etc/exports 파일에 등록 공유할 디렉토리명 접근 허용할 IP주소 rw : 읽기 쓰기권한 sync : 동기화 허용 no_root_squash : 로그인 시 루트로 처리 anonunid, anongid : 익명 사용자 uid, gid 설정 ※ nfs 서비스 시작 및 확인 ※ rpcinfo 명령어 사용하여 포트 확인 ※ service로 .. 16. CentOS7 : 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ex) 네이버의 IP주소는 223.130.195.200 이지만, www.naver.com 도메인 네임을 통해 네이버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URL 검색 순서 첫 번째 cache memory 확인 ipconfig /displaydns 캐쉬 확인 ipconfig /flushdns /etc/hosts 참조 DNS(고정 IP 설정 or DHCP 서버에서 수신하는)..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