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AWS

17. AWS :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1. EFS vs EBS vs S3

EFS (Elastic File System)

AWS에서 제공하는 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은 NFS 서비스라고 생각하자.

  • AWS 클라우드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리소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Linux 기반 워크로드용 파일 시스템
  • AWS Direct Connect 또는 AWS VPN을 통해 수천 개의 EC2 인스턴스와 온프레미스 서버 간에 파일을 공유하면서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할 수 있음
  • NFSv4 프로토콜 사용
  • 여러 인스턴스 및 리소스에서 EFS 파일 시스템에 동시 액세스 가능

 

EBS (Elastic Block Storage)

  • EC2 인스턴스와 함께 사용되는 블록 수준 스토리지
  • 볼륨으로 볼륨이 인스턴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지연 시간이 짧음
  • 저장된 데이터는 가용 영역 내에서 자동으로 복제됨
  • 일반적으로 하나의 EBS는 하나의 인스턴스에 연결됨. 공유X  (반대로 하나의 인스턴스는 여러 EBS에 연결 가능)
 

8. AWS : Amazon EBS 볼륨

Amazon EBS 볼륨 블록 수준 스토리지 디바이스이며 인스턴스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EBS가 있지만,)기본적으로 각 볼륨은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 가능 볼

mh-itstudy.tistory.com


S3 (Simple Storage Service)

  • 객체 수준의 인터넷용 스토리지
  • 기본적으로 온라인 HTTP 기반 액세스
  • 웹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스토리지
  • 여러 개의 가용 영역에 나뉘어 저장 및 운영이 되어 가용성이 높음
  • 고도의 확장성, 안정성, 속도 및 내구성을 가짐
 

9. AWS : S3 - Amazon S3

S3 (Simple Storage Service)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1. 버킷 생성 ※ S3 서비스 검색 ※ 중간에 버킷 생성에서 버킷 만들기 ※ 버킷 생성 ※ 생성된 버

mh-itstudy.tistory.com

 

 


 

2. AWS EFS 구성

※ AWS 콘솔에서 EFS 서비스 검색

 

2.1. EFS 생성

EFS 파일 시스템 생성 클릭

 

※ 파일 시스템 설정 후 생성

  • 이름, VPC, 가용영역 설정

 

생성된 파일 시스템 확인 후 이름 클릭

 

탑재 대상이 생성될 때까지 기다리자

 

 

2.2. 인바운드 규칙 설정

 연결 전 VPC → 보안 그룹에서 인바운드 규칙 편집

  • 접속할 ec2 인스턴스가 EFS에 접근 가능하도록 NFS 포트를 인바운드에 추가한다.

 

 

2.3. IP를 통해 EC2 연결

파일 시스템 생성이 완료되었으면 연결 버튼 클릭하여 연결 방법을 확인한다.

 

EFS → 연결 → IP를 통해 탑재 → 명령어 복사

 

파일 시스템 연결할 디렉터리 생성

$ sudo su -
# mkdir efs

 

※ ec2에 아래 커맨드 입력하여 AWS에서 생성한 파일 시스템 연결

# sudo mount -t nfs4 -o nfsvers=4.1,rsize=1048576,wsize=1048576,hard,timeo=600,retrans=2,noresvport 10.0.124.183:/ efs

만약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 관리에서 (보안그룹 등)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해보자

 

df 명령어 입력하여 연결 확인 (df: 디스크 공간 확인 명령어)

 

 

2.4. DNS를 통해 EC2 연결

2.4.1. 연결 전 작업

※ VPC → 작업 → DNS 호스트 이름 편집

 

※ DNS 호스트 이름 활성화 → 변경 사항 저장

 

※ VPC → 작업 → DNS 확인 편집

 

DNS 확인 활성화 → 변경 사항 저장

 

 

2.4.2. EFS 탑재 헬퍼 사용

위에서 연결한 파일시스템 마운트 해제

# umount efs

 

 nslookup 명령어로 DNS 입력하여 IP 확인

 

amazon-efs-utils 설치

# yum install -y amazon-efs-utils

 

 EFS → 연결 → DNS를 통한 탑재 → EFS 탑재 헬퍼 명령어 복사

 

복사한 명령어 입력하여 연결

 

 df 명령어로 연결 확인

 

 

2.4.3. NFS 클라이언트 사용

 위에서 연결한 파일시스템 마운트 해제

# umount efs

 EFS → 연결 → DNS를 통한 탑재 → NFS 클라이언트 사용 명령어 복사

 

 복사한 명령어 입력하여 연결

 

 df 명령어로 연결 확인

 

 


Reference.

 

Amazon EFS 서버리스 파일 시스템, 개념 및 사용법 정리

개요 Amazon EFS 는 NFSv4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아마존의 서버리스 파일 시스템 상품이다. 같은 VPC 내에서 공유하는 n개의 인스턴스에서 EFS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공용 저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jsonobject.tistory.com

 

 

 

AWS EBS vs EFS vs S3, 어느 스토리지를 써야할까?

오늘은 AWS 서비스 중 안정적이고 복원력을 갖춘 스토리지 EBS와 EFS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이 두 스토리지 시스템의 특징과 어느 상황에서 각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EBS (Elastic Block S

seohyun0120.tistory.com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