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 Beanstalk
PaaS (Platform as a service)로서 (Java, .NET, PHP, Node.js, Python, Ruby, Go, Docker를 사용하여 Apache, Nginx, Passenger, IIS와 같은 친숙한)서버에서 개발된 웹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서버 구성, Auto Scaling, 배포 자동화, 모니터링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대부분의 작업을 최대한 자동화해서 제공하는 서비스
https://aws.amazon.com/ko/elasticbeanstalk/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beanstalk/latest/dg/Welcome.html
1. 기본 VPC 생성
Elastic Beanstalk는 기본 VPC를 사용하므로 만약 해당 Region에 기본 VPC가 없다면 생성해준다.
https://docs.aws.amazon.com/vpc/latest/userguide/default-vpc.html#create-default-vpc
※ 콘솔에 VPC 검색

※ VPC → 작업 → 기본 VPC 생성

※ 기본 VPC 생성

2. Elastic Beanstalk
2.1. Web Application 생성
※ 아래와 같은 웹 페이지 구성 파일을 압축한다.


※ 콘솔에 beanstalk 검색 → Elastic Beanstalk

※ Create Application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 위에서 압축한 파일을 선택한다.

※ 환경 생성

※ 생성이 완료
- 생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확인 상태가 된다.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URL을 제공한다.

※ 해당 URL로 접속해보면 아래와 같이 배포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출력된다.

2.2. Elastic Beanstalk 대시보드 살펴보기
※ 구성
- 서버 환경 확인 및 수정이 가능하다.

※ 로그
- 관련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로그 파일 다운로드하여 아래와 같이 로그 확인 가능

※ 상태
-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상태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 모니터링
- 지표들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 경보 추가
- 그래프 우측 상단의 종 모양을 클릭하여 경보를 추가할 수 있다.


※ 경보
- 위에서 추가한 경보에 대해 조건이 일치할 경우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 이벤트
- 해당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기록들을 보여준다.


Reference.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저자: 김담형 | 출판: 위키북스)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AWS :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0) | 2022.09.01 |
---|---|
15. AWS : LoadBalancer AutoScaling (0) | 2022.07.04 |
14. AWS : Bastion Host 만들기 / CLI key 생성 (0) | 2022.07.01 |
13. AWS : EC2 - Auto Scaling (0) | 2022.06.28 |
12. AWS :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