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09. Network : Routing Protocol - RIP

1. Routing

패킷에 대한 목적지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패킷을 인터페이스로 출력

경로 정보 검색, 최적 경로 선출, 선출된 경로 관리

  1. 경로 수집(Path Discovery)
    •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브넷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경로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는 방법
  2. 경로 선출(Path Selection)
    • 수집된 경로 정보들을 기반을 각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선출하는 과정 - 매트릭 상수를 계산
  3. 경로 관리(Path Management)
    • 수집된 경로 정보와 그 안에서 선출된 최적 정보들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과정

 

1.1.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여 경로를 생성
  • 설정이 번거로우나 Connected 다음으로 신뢰성 있는 경로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사용
  • ex) Default Static Routing

1.2.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관리

 

2. Routing Protocol

2.1. IGP(Interiol Gateway Protocol)

  • 동일 조직. 즉, 동일 AS내에서 사용
  • AS(Autonomous System):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라우터들의 집합을 의미함

Distance Vector: RIP, RIPV2, IGRP

Link State: OSFP, IS-IS

Advanced Distance Vector: EIGRP

 

2.2.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다른 AS간에 사용
  • 속도는 느리지만 많은 양의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 가능

Path Vector: BGPV4

 

 

3.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UDP/IP 상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AS)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
  • 최대 홉(Hop) 수를 15로 제한하므로 15이상의 경우에는 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라우팅 정보를 30초마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리며, 180초 이내에 새로운 라우팅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이상 상태로 간주함
  • 패킷이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도착할 때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
  • 목적 네트워크 주소, 다음의 홉 IP주소, 목적 네트워크까지의 홉수 등의 정보는 라우터 내의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라우터끼리 정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며, 그 중에서 유효한 경로를 추출한 테이블을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한다.
  • RIP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사용하며 포트 번호 520으로 할당

Hop(홉)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거치는 네트워크의 수

 

3.1. RIP 구성하기

 

Seoul_R1 (왼쪽 라우터)

en
conf t
hostname Seoul_R1
ena sec mhan
no ip domain-l
ser p
line con 0
password mhan1
login
exec-time 0 0
logging syn
exit

int g0/0
ip add 1.1.1.254 255.255.255.0
no sh
int s0/0/0
ip add 1.0.0.1 255.255.255.252
clock rate 4000000
no sh
do wr
exit

//RIP 설정
router rip
network 1.1.1.0
network 1.0.0.0
passive-interface g0/0
do wr
do sh ip rou

//RIP 버전 설정
exit
router rip
version 2
do wr
  • passive-interface g0/0 : g0/0에 대해서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업데이트 내용을 받기만 하고, 보내지 않음
  • RIP version 2 : subnetmask를 인식한다.

 

Deajeon_R1 (가운데 라우터)

en
conf t
hostname Deajeon_R1
ena sec mhan
no ip domain-l
ser p
line con 0
password mhan1
login
exec-time 0 0
logging syn
exit

int g0/0
ip add 1.1.10.254 255.255.255.0
no sh
int s0/0/0
ip add 1.0.0.2 255.255.255.252
no sh
int s0/0/1
ip add 1.0.0.13 255.255.255.252
clock ra 4000000
no sh
do wr
exit

//RIP 설정
router rip
network 1.1.10.0
network 1.0.0.0
network 1.0.0.12
passive-interface g0/0
do sh r
do wr

//RIP 버전 설정
exit
router rip
version 2
do wr

 

Busan_R1 (오른쪽 라우터)

en
conf t
hostname Busan_R1
ena sec mhan
no ip domain-l
ser p
line con 0
password mhan1
login
exec-time 0 0
logging syn
exit

int g0/0
ip add 1.1.20.254 255.255.255.0
no sh
int s0/0/0
ip add 1.0.0.14 255.255.255.252
no sh
do wr
exit

//RIP 설정
router rip
network 1.1.20.0
network 1.0.0.12
passive-interface g0/0
do wr

//RIP 버전 설정
exit
router rip
version 2
do wr

 

3.2. ip route 확인

※ Seoul_R1

 

※ Daejeon_R1

 

※ Busan_R1

3.3. Ping Test

※ Seoul_PC

 

※ Daejeon_PC

 

※ Busan_PC


Reference.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는 UDP/IP 상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경유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수로 수치화하여, DVA(Distance Vector Algorithm)라는 알고리즘

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