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ubernetes

2. Kubernetes : node 연결

Kubernetes (K8s)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및 관리해주는 오픈소스 시스템

 

HOST master node1 node2 node3
IP 10.0.0.1 10.0.0.11 10.0.0.12 10.0.0.13
SUBNET 255.255.255.0
GATEWAY 10.0.0.254
DNS1 10.0.0.1, 168.126.63.1
CPU 1P2C 1P2C 1P2C 1P2C
MEM 2048 2048 2048 2048
HDD 50 50 50 50
NIC NAT NAT NAT NAT

 

VMWare Workstation - 가상 머신 생성

2022.02.22 - [Setting/VMware] - 02. VMware Workstation : CentOS7 - Virtual Machine 생성 및 설정

 

02. VMware Workstation : CentOS7 - Virtual Machine 생성 및 설정

1. Virtual Machine 생성 (CentOS7) 홈 화면의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또는 File > New Virtual Machine 을 통해 새로운 가상 머신을 생성한다. 1. 구성 요소 선택으로 Custom 하여 가상머신을 생성할 것..

mh-itstudy.tistory.com

 

hostname 변경

# hostnamectl set-hostname [hostname]
# shutdown -r now

 

 

https://kubernetes.io/ko/

 

운영 수준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운영 수준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kubernetes.io

 

아래 사이트 참고하여 설치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

 

리눅스에 kubectl 설치 및 설정

시작하기 전에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24 클라이언트는 v1.23, v1.24, v1.25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호환되는 최신 버전

kubernetes.io

 

 

실습 - master

 

생성 확인

 

자세한 내용 확인

# kubectl describe pod

 

 

 

 

삭제

 

# kubectl delete pod test-nginx

 

 

노드 확인

# kubectl get nodes

 

토큰 확인

# kubeadm token list

 

토큰 생성

# kubeadm token create

 

퍼블릭키 추출 및 hash

# openssl x509 -pubkey -in /etc/kubernetes/pki/ca.crt | openssl rsa -pubin -outform der 2>/dev/null | openssl dgst -sha256 -hex | sed 's/^.* //'

 

node join

# kubeadm join 10.0.0.1:6443 --token 토큰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퍼블릭키

 

 

노드 삭제

# kubectl drain k8s-node3 --ignore-daemonsets
# kubectl delete node k8s-node3

 

 

# kubeadm reset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Kubernetes : Pod  (0)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