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암호화 방식
- 양방향
- 개인키
- 공개키
- 단방향
- HASH
2. 개인키 암호화(Private Key Encryption) 기법
개인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평문의 정보 M을 암호화 알고리즘 E와 개인키(Private Key) K를 이용하여 암호문 C로 바꾸어 저장시켜 놓으면 사용자는 그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복호화 알고리즘 D와 개인키 K를 이용하여 다시 평문의 정보 M으로 바꾸어 이용하는 방법.
- 종류
- 블록 암호화 방식: DES, SEED, AES, ARIA
- 스트림 암호화 방식: LFSR, RC4
- 장점: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공개키 암호 기법보다 파일의 크기가 작다.
- 단점: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3. 공개키 암호화(Public Key Encryption)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공개키(Public Key)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공개하고, 복호화할 때의 비밀키(Secret Key)는 관리자가 비밀리에 관리한다.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평문의 정보를 암호화 알고리즘과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암호문으로 바꾸어 저장시켜 놓고, 이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비밀키와 복호화 알고리즘에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이 복호화 알고리즘과 비밀키(Secret Key)를 이용하여 다시 평문의 정보로 바꿀 수 있는 기법이다.
- 비대칭 암호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 기법이 있다.
- 장점: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적다.
- 단점: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개인키 암호화 기법보다 파일의 크기가 크다.
4. 해시(Hash)
해시는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 해시 알고리즘을 해시 함수라고 부르며, 해시 함수로 변환된 값이나 키를 해시값 또는 해시키라고 부른다.
- 데이터의 암호화, 무결성 검증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정보보호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한다.
- 해시 함수의 종류에는 SHA 시리즈, MD5, N-NASH, SNEFRU 등이 있다.
Reference.
202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1년 정보처리기사 NCS기반 전면 개편!〈202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출제기준에 포함된 125개의 학습 모듈을 완전 분해하여 정보처리기사 수준에 맞게 204개 섹션으로 엄선하여 정리하였
bo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