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 HTTP 서버(Apache HTTP Server)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HTTP 웹 서버 소프트웨어
80 port 사용
1.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y httpd


2. 설정
/etc/httpd/conf/httpd.conf 설정 파일
- ServerRoot : 서버 설정 디렉토리 위치
- Listen 80 : 포트 설정 (거의 변경할 일 없음)
- Include [모듈 위치] : 사용할 모듈 설정
- User/Group : httpd를 실행할 사용자/그룹
- ServerAdmin : 서버 관리자 메일 주소
- ServerName : DNS에서 설정 가능
- <Directory [경로]> </Directory> : 해당 디렉토리 권한 설정
- AllowOverride : 사용자 인증 사용 여부
- Require all : 모든 사용자에 대해 접근 권한 설정
- DocumentRoot : 웹 컨텐츠 디렉토리
- Options Indexes : 디렉토리 리스닝 기능 (url 입력 시 하위 디렉토리 목록 출력 설정)
- DirectoryIndex : 클라이언트가 웹서버 접속 시 서비스할 파일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없을 경우 Welcome Page를 보여줌)
- <Files [파일명]> </Files> : 파일 관련 권한 설정
- ErrorLog : 에러 로그 위치
- LogLevel : 설정한 것 이상부터 log 남김 ( ex. debug, info, notice, warn, error, crit, alert, emerg )
- LogFormat : 로그 포맷 설정
- ErrorDocument : 에러 페이지 설정 (정보 제공으로 인해 에러 페이지는 통합하는 추세)
3. 실습
3.1. 아파치 웹 서버 서비스
※ 방화벽 오픈 (두 가지 방식 중 한 가지 방법 사용)


firewall-cmd Options
- --permanent : 설정파일을 건드려 시스템 재시작 후에도 변경 사항 적용 (초기화 되지 않음
- --add-service : 서비스 오픈
- --add-port : 포트 오픈
- --reload : permanent 옵션 사용하여 설정할 경우 reload 필요
- --list-all : 사용 가능한 서비스 및 포트 설정 확인
※ httpd 서비스 시작 및 상태 확인

※ 인터넷 웹 브라우저에 IP 입력하여 접속

- html 파일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Welcome 페이지가 출력된다.
3.2. html 파일 설정
※ /var/www/html/index.html 파일 생성 및 내용 설정

※ 웹 브라우저에서 IP 입력하여 접속하여 확인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8C%8C%EC%B9%98_HTTP_%EC%84%9C%EB%B2%84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CentOS7 : NFS(Network File System) (0) | 2022.03.29 |
---|---|
16. CentOS7 : DNS(Domain Name System) (0) | 2022.03.29 |
14. CentOS7 : FTP (File Transfer Protocol) (0) | 2022.03.22 |
13. CentOS7 : DHCP (0) | 2022.03.22 |
12. CentOS7: Local Repository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