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습 환경 구성
2022.07.05 - [Cloud/GCP] - 6. GCP : Filestore
※ 위 글 참고하여 web-1 인스턴스 생성
#! /bin/bash
sudo su -
setenforce 0
yum install -y httpd
cat > /var/www/html/index.html << EOF
<html><body><h1>GCP-WEBSERVER</h1></body></html>
EOF
systemctl start httpd
2. Cloud DNS
2.1. Cloud DNS API 사용 설정
※ 네트워크 서비스 → Cloud DNS
※ Cloud DNS API 사용
2.2. Cloud DNS 생성
※ Cloud DNS 영역 만들기
※ 영역 이름, DNS(구매한 DNS) 설정 후 만들기
※ Cloud DNS 생성 확인
2.3. 도메인 nameserver 설정
※ nameserver 확인 및 복사
※ 도메인 사이트에 gcloud nameserver 입력 (hosting.kr에서 도메인을 생성했으므로 해당 사이트에서 진행)
2.4. 레코드 세트 추가
※ 인스턴스 외부 IP 확인
※ 레코드 세트 추가
※ IPv4에 인스턴스 외부 IP 입력 후 만들기
※ DNS www도 위와 동일하게 만들기
※ 생성 확인
2.5. 방화벽 설정
2022.07.05 - [Cloud/GCP] - 4. GCP : VPC 네트워크, 방화벽 생성
※ 위 글 참고하여 80/tcp, 53/tcp, 53/udp 방화벽 오픈 설정
2.6. Test
※ 웹 브라우저에서 도메인 입력하여 접속 확인
3. FTP DNS로 접속 설정
3.1. FTP 설치
https://mh-itstudy.tistory.com/23
14. CentOS7 : FTP (File Transfer Protocol)
1. FTP(File Transfer Protocol) 1.1. 대용량 파일 전송 (Upload, Download) 1.2. Linux vsftpd or proftpd 인증 및 제어 Protocol : TCP Port : 21 data 전송 Active : Port 20 - Client Data 전송 포트를 결정..
mh-itstudy.tistory.com
※ 위 글 참고하여 인스턴스에 FTP 설치
3.2. 방화벽 설정
※ 방화벽 설정
- FTP 포트: 21/tcp
- passive 설정 포트: 65000-65100 (본인이 설정)
3.3. Test
※ filezilla에서 접속 설정
※ 사용자 a 로그인 - chroot 확인
※ 사용자 b 로그인
3. DNS - mail 설정
3.1. mail 설치
https://mh-itstudy.tistory.com/27
18. CentOS7 : SMTP, IMAP
1.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며, TCP 포트번호 25번을 사용한다. 상대 서버를 지시하기 위해 DNS의 MX 레코드가 사용된다. sendmail 2. POP과 I..
mh-itstudy.tistory.com
※ 위 글 참고하여 인스턴스에 mail 설치 및 설정
▷ mail 설정 시 /etc/mail/access 파일을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 Cloud DNS 레코드 모음 생성
※ 생성 확인
3.2. 방화벽 설정
※ 25/tcp, 110/tcp, 143/tcp 방화벽 오픈
3.3. Test
※ 계정 a 로그인 설정 (계정 b도 동일하게 설정)
※ 메일 송 수신 확인
'Cloud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GCP : SQL & SQL-Wordpress 연결 (0) | 2022.07.05 |
---|---|
8. GCP : Cloud Storage (0) | 2022.07.05 |
6. GCP : Filestore (0) | 2022.07.05 |
5. GCP : 인스턴스 CLI로 생성 및 접속 (gcloud CLI) (0) | 2022.07.05 |
4. GCP : VPC 네트워크, 방화벽 생성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