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CL(Access Control List)
접근제어목록(Access Control List)을 설정한 것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게만 일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2. 명령어
2.1. setfacl
파일/디렉토리의 추가적인 권한을 수정할 때 사용
- 사용법 : setfacl [option] [권한] [파일/디렉토리]
- 옵션
- -m : ACL 설정 (수정)
- -x : ACL 삭제
-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 내용까지 권한 변경
- -b : 모든 ACL 삭제 (mask 포함)
- 임시로 모든 유저에 대해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거할 때 mask를 사용한다.
- 참고: 디렉토리의 경우 실행 권한이 없으면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이 불가하다.
2.2. getfacl
파일/디렉토리의 추가적인 권한을 확인할 때 사용
- 사용법 : getfacl [option] [파일/디렉토리]
- 옵션
- -d : 기본 정보에 대해 확인
-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 내용까지 확인 가능
2.3. acl 실습
※ 테스트용 디렉토리 acl 생성 후 chmod 751 설정.
※ acl 디렉토리에 대해서 유저 a에게는 모든 권한을, 유저 b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
- acl을 설정하면 권한 뒤에 + 기호가 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a 계정으로 /root/acl 디렉토리로 이동, 파일 생성, 파일 내용 확인이 모두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b 계정의 경우 /root/acl 디렉토리로 이동, 파일 내용 확인은 가능하지만, 파일 생성은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acl 디렉토리에 대해서 b에 대한 acl 설정 삭제.
※ acl 디렉토리에 대해서 mask권한 rx로 설정.
- acl 디렉토리에 대해 a의 쓰기 권한이 삭제 되어 파일 생성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유저 권한 < mask
※ acl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에 대해서 소유자와 그룹에 대해서 모든 권한, 기타사용자에 대해서 실행 권한만 부여.
[문제 풀어보기]
1.1. 최상위 디렉토리에 mhan 이름으로 회사 생성. 아래 테이블과 동일하게 부서 및 유저 생성
부서/이름 | aa | bb | cc | dd | ee | ff | ceo |
admin | r | rw | - | - | r | r | r |
sales | - | - | r | rw | r | r | r |
tech | - | - | - | - | rw | - | r |
fin | - | - | - | - | - | rw | rw |
1.2. 설정 완료 후 모든 사용자 접근 테스트
2. fin 디렉토리의 mask 값을 rx로 설정 후 ff, ceo의 권한 확인
3. fin 디렉토리에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에는 반드시 775 권한을 갖도록 설정
Reference.
[리눅스] ACL(Access Control List) 설정
카페24 서버호스팅 Guide ACL(Access Control List) 설정 1. acl이란 - 접근제어목록(Access Control List)을 설정한 것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게만 일정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2. acl..
blog.cafe24.com
https://it-serial.tistory.com/58
[Linux] ACL 개념 & 설정법(setfacl, getfacl)
리눅스는 대체적으로 서버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버로 활용되면 보안을 철저히 해야합니다. 간단하지만 리눅스 서버 보안 관련하여 ACL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ACL이란 ? ▷ Access Control L
it-serial.tistory.com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CentOS7 : package 관리 (0) | 2022.03.08 |
---|---|
10. CentOS7 : Quota (0) | 2022.03.08 |
08. CentOS7 : Disk관리/Partitioning/LVM (0) | 2022.03.01 |
07. CentOS7 - 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관련 파일과 명령어 (0) | 2022.03.01 |
06. CentOS7 명령어 - useradd, usermod, userdel, group (0) | 202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