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resource "aws_vpc" "mhan_vpc" {
cidr_block ="10.0.0.0/16"
enable_dns_hostnames = true
enable_dns_support = true
tags = {
"Name" = "mhan-vpc"
}
}
resource 지시자는 aws 상에 Terraform을 이용하여 생성할 자원을 의미한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Terraform Registry
registry.terraform.io
위 사이트 참고
- "aws_vpc"는 생성할 리소스로서 상기 문서에 지정된 대로만 사용해야 한다.
- "mhan_vpc"는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는 식별자
Terraform에서 해당 값을 참조하는 경우가 많으니 가독성 있게 작성하는 것이 좋다. - cidr_block은 필수(required) 항목
- enable_dns_hostname과 enable_dns_support는 옵션 항목
기본 값은 false이기 때문에 bool 값을 true로 설정해 주었다. - tags는 aws 상에서 생명주기나 역할에 맞게 그룹 형태로 관리할 때 사용하는 항목
굳이 설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aws resource 식별에 유리하다.
provider를 지정하였으니
# terraform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aws plugin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그리고 # terraform plan → # terraform apply 명령어 순으로 실행하면 aws에 vpc가 생성 된다.
# terraform destroy 명령어로 생성한 vpc 삭제 가능
Reference.
https://virtualtech.tistory.com/85?category=1064658
Terraform : 2. vpc create
20단계로 배우는 Terraform : AWS 2회차 포스팅입니다. 간단하게 서울 리전 (ap-northeast-2)에 VPC를 생성하려 합니다. Subnet은 총 6개를 생성하며 a,c 가용영역을 사용하려 합니다. 우선 네트워크는 10.0.0.0/1
virtualtech.tistory.com
'IaC > 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Terraform : (AWS)Internet Gateway 생성 (0) | 2022.06.30 |
---|---|
4. Terraform : Subnet 생성 (0) | 2022.06.30 |
2. Terraform : Key Upload (0) | 2022.06.30 |
1. Terraform : Chocolatey/Terraform/VSCode 설치 및 실습 환경 구축 (0) | 2022.06.23 |